옥수수는 우리나라에서 강냉이·강내미·옥시기 등으로 불리는 작물이다. 요즘 제철이다.
과거 쌀이나 보리를 재배하지 못하는 산간 지대에서 식량 대용으로 재배했다. 간식용 풋옥수수는 찰옥수수,
단옥수수, 초당옥수수로 나눠진다. 씹히는 맛이 달라서 어린이, 어른들이 선택하는 옥수수에 차이가 있다.
찰옥수수 vs 단옥수수 vs 초당옥수수
우리나라에서는 예전부터 재래종 형태의 찰옥수수를 주로 재배하고 있다. 국립식량과학원에 따르면
우리 사람들의 입맛이 찰옥수수에 익숙해져 있어 대부분 찰옥수수를 찾고 있다. 단옥수수, 초당옥수수 등은
부드럽고 단맛이 나서 어린이들이 좋아한다. 단옥수수는 보통 단옥수수와 당 함량이 많은 초당옥수수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단옥수수는 보통 단옥수수를 의미하며 모양이 일그러져 있다. 초당옥수수는
당분과 수분이 많아서, 말리면 단옥수수보다 모양이 더 쭈글쭈글하게 변한다. 알이 작고 납작하다.
씨눈에 영양소 집중 - 콜레스테롤 낮추고 혈관 건강에 기여
옥수수의 씨눈에는 필수 지방산인 리놀레산이 많이 들어있어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혈관이 좁아지는 동맥경화 예방에 도움을 준다. 알맹이를 손으로 빼면 배아가 함께 떨어져
나와 영양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칼로 알맹이를 잘라낼 경우 숟가락을 이용해서 배아까지
긁어내어 사용하면 좋다.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E, 칼륨, 철분 등의 무기질도 풍부하다.
식이섬유가 특히 많아, 음식을 통해 몸에 늘어난 중성지방을 줄이고 장 청소, 변비 예방에 기여한다.
옥수수로 식사할 때 우유나 달걀과 함께 - 과식하면 혈당 주의
옥수수의 소화율과 열량은 쌀이나 보리에 뒤지지 않는다. 다만 라이신, 트립토판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의 양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옥수수로 식사할 경우 라이신이 풍부한 콩,
트립토판이 많은 우유, 고기, 달걀 등 단백질 함량이 높은 식재료와 함께 먹으면 보완이 된다.
찐 옥수수의 혈당지수는 73.4로 높다. 식사 후 곧바로 먹으면 혈당이 크게 상승할 수 있다.
오후 출출할 때 간식으로 먹는 것이 좋다. 이때도 중간 크기 한 개만 먹고 과식은 피해야 한다.
바로 먹지 않을 경우 냉동 보관
옥수수 수염은 몸의 부기를 줄여서 차로 많이 나와 있다. 옥수수 수염 추출물에 들어있는
메이신 계통 물질이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에 기여한다. 옥수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당분이
전분으로 변한다. 이때 단맛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로 먹지 않을 경우 냉동 보관하는 것이 좋다.
먼저 옥수수를 한 번 찐 다음 열이 식으면 굳기 전에 먹을 만큼 팩에 나누어 냉동실에 보관한다.
냉동한 옥수수는 알맹이를 따서 밥을 할 때 넣거나 찜통에 다시 쪄서 먹으면 오래 두고 즐길 수 있다